- 서울시택시운송사업조합 문충석 이사장 "자동 배차로 승차 거부 근절"
- "부르면 오는 서비스로 시민에게 사랑받는 택시되겠다." 포부 밝혀
- 서울시택시운송사업조합과 서울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이 출시한 '온다 택시'
택시업계가 28일 '온다 택시'를 출시, 대기업이 장악한 택시 호출 서비스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온다 택시는 카카오택시와 '타다'에 대항해 서울시 양대 택시조합이 처음으로 선보인 호출 서비스이다. 온다 택시는 기사 모집부터 서비스 운영까지 법인 택시 조합인 서울시택시운송사업조합과 서울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이 주도한다. 티머니는 플랫폼 기술지원과 서비스 지원을 맡았다고 한다.
서울특별시택시운송사업조합 문충석 이사장은 "승객 만족도를 제고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만이 택시업계가 살길"이라고 하며 "승차 거부를 없앤 온다 택시가 그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온다 택시는 기존 택시 호출 앱과 차별화를 위해 골라 태우기 방지에 초점을 맞췄다. 기존 앱은 승객이 승차를 요청한 위치에서 일정 반경의 모든 차량에 콜을 보내고, 콜을 먼저 수락한 기사에게 배차하는 ‘경쟁배차’이다. 이로 인해 기사가 목적지를 보고 원하는 승객을 골라 태우는 일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온다 택시는 ‘인공지능(AI) 자동배차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를 활용해 호출 승객의 반경 1㎞ 이내 최단 거리에 있는 택시 한 대를 자동으로 배치한다. 승객이 타기 전까지는 기사에게 목적지를 노출하지 않는다. 서울 시외인 경우에만 목적지를 미리 알 수 있고, 서울 시내는 승객이 탄 뒤 미터기의 주행 버튼을 눌러야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문충석 이사장은 "택시 본연의 기능인 '승객이 부르면 온다'는 콘셉트에 집중했다"고 하며 "최적 배차 방식으로 승객이 택시를 기다리는 시간을 아끼고, 택시기사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일거양득"이라고 고 설명했다. 택시 기사 입장에서는 기존 모바일 앱과 달리 카드 결제기를 통해 콜을 받을 수 있어 콜 수신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연말연시 승객을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 행사도 계획하고 있다.
온다 택시는 사전 모집한 법인택시 2천대, 개인택시 2천대 등 총 4천대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서울 전체 택시 약 7만2천대의 약 5%에 해당하는 규모. 참여 택시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보니 택시를 잡기 어려울 가능성도 있고, 콜을 수락하지 않더라도 기사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는다. 두 조합은 호출 실패 시 바로 재호출을 하기에 승객에게 별다른 피해가 가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향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배차 요청을 일부러 거절하는 기사는 가려낸다는 계획이다.
문충석 이사장은 "기사 모집은 일주일 만에 목표치를 달성했을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 현재 가입 대기자도 상당히 많다"고 하며 "참여 기사를 꾸준히 늘리면서 서비스 교육에도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토부의 택시 제도 개편 방안에 발맞춰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로 온다 택시를 단계적으로 발전시켜가겠다"며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시민에게 사랑받는 택시로 거듭 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끝.
※ 기사원문 : https://www.yna.co.kr/view/AKR20191128099300004?input=1179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