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티머니, 전국 2만1천개 약국대상 서비스 확대!
- 월 800만 티머니 사용자! 약국에서 티머니 충전하고, 티머니로 결제한다!
- 약국-티머니의 콜라보로 ‘생활 밀착형 서비스’ 탄생시키며 Win-Win 기대
최근 약국의 변신이 무섭다. 단순 ‘약 파는 곳’을 벗어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며 선진국형으로 서비스가 업그레이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약국에서도 티머니 충전은 물론, 티머니로 상품 결제가 가능해져 월 800만에 달하는 티머니 고객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교통카드 및 전자화폐의 대명사 ‘티머니’를 발행하는 한국스마트카드[대표이사 최대성]는 대한약사회[회장 조찬휘], 크레소티[약국전용 결제 ‘팜페이’ 서비스사, 대표이사 박경애]와 손잡고 전국 2만 1천개 약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계기로 한국스마트카드는 ‘약국’이라는 새로운 유통 결제처를 개척하게 된다. ‘티머니’의 스마트 간편결제 방식과 ‘약국’의 전문 서비스가 결합되어 진정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가 제공 되는 것. 이를 통해 고객은 ‘티머니’ 하나면 가까운 동네 약국에서 교통카드 충전은 물론 비상약과 다양한 생활용품을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국 약국은 티머니 판매, 충전, 결제가 모두 가능해짐으로써 ▲ ‘생활 밀착형 스토어’로 변신 ▲기존 신용/체크카드 보다 저렴한 ‘티머니 카드수수료’ 발생 ▲의약품을 취급하는 타업종[Drug Store, 편의점 등] 대상 경쟁력 확보 ▲고정적인 티머니 구매 및 충전 사용자의 약국 방문을 통한 새로운 단골손님 발생 ▲티머니 판매 및 충전에 따른 약국 신규수익 발생 ▲모바일티머니 기반의 다양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효과 ▲한국은행 주도 ‘동전없는 사회’ 캠페인 참여 가능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결과적으로 ‘처방/조제서비스’로 인식된 약국의 이미지를 크게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학교인근, 학원가, 역세권, 정류장, 주거지 인근 약국들은 월 800만 명에 이르는 티머니 사용자들을 바로 흡수 할 수 있다. 향후 한국스마트카드는 약국 연계 마케팅, 캐릭터 카드상품 판매, 신규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약국과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강현택 한국스마트카드 Payment&Platform 사업 부문장은 “약국에서 티머니 서비스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티머니’ 사용자는 약국에서도 버스, 지하철처럼 간편 결제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도 약국과 고객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티머니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약국 티머니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티머니 홈페이지[
www.tmoney.co.kr], 고객센터[080-208-2992] 또는 팜페이 홈페이지[
www.pharmpay.co.kr] 고객센터[1588-7599]를 참고하면 된다. [끝]